내식성/친환경성/강성이 뛰어난 플라스틱 소재는 각종 산업용 부품 재질로 오래 전부터 활용되고 있습니다. 4차 산업에서는 플라스틱 소재를 활용한 제품 등이 많이 이용되고 있습니다.
NYLON-6의 단량체인 카프로락탐을 직접 주입한 상태로 음이온 중합시켜 제조되는 산업용 수지로서 종래의 일반 NYLON-6의 사출성형이나 압출성형과는 화학적으로 동일하나 분자량이 훨씬 크고, 결정화도가 매우 우수합니다. 공학적으로 우수한 물성을 지니므로 금속, 목재류의 대체 소재로 개발되어 현재 여러분야에서 필수소재로 사용되고 있는 신공업소재입니다.
PEEK(Poly Ether Ether Ketron)는 수지를 압출성형한 열가소성 고기능 플라스틱으로, PPS(Poly Phenylen Sulfide)와 유사한 내약품성, 내수분성을 가지고 있지만, PPS(220°C/426°F)보다 높은 연속사용온도(250°C/480°F)를 가지고 있습니다. 난연성 등급에 뜨거운 물 수증기 등 고강도의 열악한 작업환경에서도 물리적 성질을 잃지 않아 전기, 전자, 항공 등 고성능 분야에 광범위하게 사용됩니다.
흔히 아세탈이라고 불려지는 수지로서 호모폴리머와 코폴리머가 있으며 두재료 모두 결정성이며 양호한 피로내구도, 내크리프성, 낮은 마찰계수와 매력적인 외관을 가진 강성재료입니다. 호모폴리머는 높은 안장강도, 굴곡강도, 내피로성과 경도를 가지고 있으며, 코폴리머는 열적으로 안정되어 가공이 용이하고 열수, 열화에 대한 내성이 양호합니다. 그리고 뛰어난 알칼리성과 보다 높은 신장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PE(Polyethylense)는 뛰어난 내화학성과 좋은 내마모성을 가진 폴리머로 분자량에 따라 LDPE(Low Density), HDPE(High Density), UHMW-PE(Ultra High Molecular Weight)가 있습니다. 이중 HDPE는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며, UHMW-PE는 평균 분자량이 300만 이상의 초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전반적인 물성이 HDPE보다 우수하지만 가격이 비싼 FDA 승인품입니다.
HDPE와 구별이 쉽지 않을 정도로 유사한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Homo PP와 Co PP로 구분되며 밀도가 0.9~0.94로 아주 적지만, 기계적 강도, 경도 등이 HDPE보다 우수하여 전기절연성, 내약품성이 뛰어나다.
PC(Polycarbonate)는 비스페놀A(Bisphenol A)와 포스켄(Phosgene)을 합성하여 만든 열가소성 수지이며, 압출방식으로 생산됩니다. 내충격성, 내구성, 자기 소화성이 높아 가전, 생활, 건축, 산업 전반 등의 제품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됩니다. 제품의 용도에 따라 크게 투명, 칼라, 광확산, 롤(Roll) 제품으로 분류되며 다양한 용도에 맞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Polyisocyanate 와 Polyalcol의 반응에 의해 만들어지는 우레탄 결합의 폴리머입니다. 폴리우레탄은 탄성, 내마모성, 가공성이 우수하여 산업 및 소비재, 부품 등 다양하게 사용 됩니다. 폴리우레탄은 열가소성(열로 녹여 성형)과 열경화성(액상을 열로 굳힘)이 있습니다.
금속에 비해 비중이 작으나,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여 산업용 구조물 적용 가능하며 전기적 특성과 가공성이 좋아 응용분야가 광범위하다. 낮은 흡수율과 높은 표면 저항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절연성 보강재로 좋으며 열에 강하기 때문에 형태 보존이 좋다.
경화제 혹은 촉매를 가하지 않고 가열하면 경화하지 않으며 이점이 타 열경화성수지와 다른 특징이다. 주형품에서는 강도가 크고 치수안정성이 우수하며 내수성이 좋아 흡수율이 작다. 전기절연성, 내약품성이 우수하며 내열성과 기계적 강도가 뛰어나다. 보통 용제에는 침해되지 않는다.